연구보고서
- 저자
- 기후분석과 여새림, 임슬희, 이현주, 윤순조, 김가은, 박다인, 예측기술과 김원무
- 작성일
- 2021.02.02
- 조회
- 501
- 요약
- 목차
평문 초록
APEC기후센터(APCC)는 국내를 포함한 아·태(아시아·태평양)지역의 이상기후를 감시하고 최적의 기후예측정보를 생산하여 우리나라와 아·태 지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장기예보 정확도 향상 및 관련 기술 역량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APCC는 장기예보 생산 기관인 기상청과 협력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협력 시스템은 APCC가 보유하고 있는 기후예측 관련 기술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현업 장기예보 생산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장기예보는 기후예측 모델의 결과와 함께 우리나라 기온과 강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기후요소의 현황과 추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생산됩니다. 따라서 신뢰도 높은 장기예보의 생산을 위해서 우리나라 기후 변동성에 대한 물리, 역학적 이해와 함께 기후예측 모델 결과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예측 성능 향상 기법 개발이 필요합니다. 이 과제는 이러한 부분들을 아우를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먼저 기후예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후 변동성 중 하나인 엘니뇨-남방진동(El Niño-Southern Oscillation; ENSO)이 우리나라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하게 분석하였습니다. 단순히 ENSO 발생 여부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 특성 분석에서 더 나아가 ENSO의 다양한 특성, 즉, 진화 과정, 공간 구조, 강도 등을 고려하여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실제로 현업 장기예보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계 분석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예측 인자들에 대하여 최근에 예측성의 변화가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한편, 장기예보 생산의 기준값이 되는 기후 평년값은 10년을 주기로 업데이트 되는데, 2021년에 평년값이 변화함에 따른 삼분위 판정 변화 및 예측성 변화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현업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합니다. 또한, 기후예측 모델의 우리나라 폭염 예측 성능과 특성을 분석하였습니다. 그리고 신기술을 적용하여 기존에 개발된 APCC 다중모델앙상블 (Multi Model Ensemble; MME) 기반 역학-통계 모형을 개선하여 참여 모델 변화 등의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한편, 기상청은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WMO)의 주요 Global Producing Centre 중 하나로 WMO 장기예보 선도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에 APCC는 MME 전문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상청과 함께 WMO 장기예보 선도센터를 운영하여 WMO 회원국의 요구에 부합하는 고품질 기후예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과제의 연구 결과들은 학문적인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현업 장기예보 업무에 적용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과제 연구원들은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상청의 현업 장기예보 관련 회의에 직접 참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매주 1개월 전망, 매월 3개월 전망 예보토의 및 월 기후 분석토의에 참여하여 장기예보 생산 및 사후 분석 과정에 직접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업 장기예보의 정확도 향상에 APCC가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며 APCC 내부적으로도 우리나라 기후예측과 관련한 역량 강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신뢰도 높은 장기예보 생산을 통해 일반 국민을 포함하여 다양한 전문가 수요자 그룹에서 가치 있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