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CC 로고

apcc logo

[기고] 엎친 데 덮친 격 폭우·폭염, 대응책 필요하다

작성자
Admin
 
작성일
2022.08.16
조회
359

최근 한반도의 여름에 최악의 폭염과 장마가 번갈아 나타났다. 2020년에는 6월 초·중순에 이른 폭염과 연이어 6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두 달간 지속된 장마에 의해 홍수 및 산사태로 큰 피해가 났다. 2022년에는 6월 26일 서울 및 인근지역의 열대야 발생 등 관측 이래 국내 첫 6월 열대야가 찾아왔다. 6월 30일과 7월 1일에는 최대 300㎜ 이상의 장맛비가 주로 중부지방에 집중되고, 남부지방은 폭염과 열대야가 기승을 부렸다.

 

비가 내린 후 습도가 높을 때 찾아오는 폭염은 사람에게 더 큰 고통을 줬다. APEC기후센터 연구진이 1981년부터 2018년까지 폭염을 분석한 결과, 여름에 기온과 습도의 복합적 영향으로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온도인 ‘더위 체감온도’의 강도가 2010년을 기점으로 기온 상승에 비해 훨씬 강해지는 경향을 밝혀냈고, 2010년 이후 기온과 습도의 복합적인 효과로 폭염에 의한 인간의 건강 피해가 늘었다.

 

또한, APEC기후센터와 기상청이 최근 발표한 하천 유역별 극한 강수량의 미래변화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현재처럼 탄소배출이 계속 늘면 100년 재현 빈도(100년에 한 번 나타남) 일 누적 극한 강수량이 부울경의 낙동강 유역에서 21세기 전반기(2021~2040년)에는 최소 310㎜ 이상, 중반기(2041~2060년)에는 374㎜ 이상, 후반기(2081~2100년)에는 무려 380㎜ 이상이 예상된다. 모든 극한 강수량이 기상청의 호우주의보 발령 기준(일 누적 강수량) 220㎜ 이상을 훨씬 넘어 미래에는 호우 피해가 훨씬 커질 수 있다.

 

특히 국립기상과학원 포항공과대학 서울대 영국기상청의 ‘복합 극한 이상기후에 관한 공동연구’에 따르면 2020년 여름에 동시에 나타난 폭염과 장마 같은 복합 극한 이상기후는 온실가스 때문이라고 한다. 즉 온실가스 배출의 증가로 지구 평균기온이 1.5도 이상 오르면 폭염과 호우가 동시 혹은 연속적으로 발생해 복합 극한 이상기후 현상이 더 잦아지고 강도도 강해진다.

 

그러면 지구온난화로 나타나는 새로운 발생 양상의 폭우·폭염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첫째, 이상기후 현상에 대한 예측 능력을 높인 기후예측 정보를 제공해 국가·사회가 이러한 폭우와 폭염에 선제적으로 대처하도록 해야 한다. 이때 신뢰성 높은 기후예측 정보의 생산·제공이 선행돼야 한다. 세계기상기구의 ‘기후 및 극한날씨 보고서(2021년)’에 의하면 지난 50년(1970~2019년) 동안 기상·기후 재해는 5배 증가한 데 비해, 기후 정보에 바탕을 둔 이상기후 조기경보 시스템의 개선으로 인명 피해는 3분의 1로 줄었다.

 

둘째, 복합 극한 이상기후 현상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반영해 앞으로 각각의 이상기후 현상이 동시 또는 연이어 복합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 기후위기 대응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는 보건 수자원 농업 에너지 등 기후 민감 분야에서 폭우·폭염 등과 같은 각각의 이상기후 현상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방안이 수립됐다. 최근 코로나 봉쇄 조치가 풀리면서 경제·산업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이 늘 것으로 예측된다. 이로 인한 지구온난화 가속으로 극한 기후현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커진다. 이에 따라 폭염·폭우가 동시, 혹은 연이어 발생할 경우의 피해 상관관계를 고려한 기후위기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셋째, 장기적으로 대량의 탄소배출이 필요한 대량 생산·소비·폐기 방식에서 탈피해 자원순환과 친환경 중심의 저탄소 생산·소비로 기후위기를 막는 실천인 기후행동에 모든 사회구성원의 참여와 관심이 필요하다.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6차 평가 보고서는 극한 이상기후 현상을 줄이는 유일한 대안은 온실가스 감축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국내 온실가스 배출의 상당량을 차지하는 국내 산업계가 탄소배출을 지속해서 줄이도록 지원해야 한다. 또한, 국민 개개인은 종이컵 등 1회 용품 사용 금지, 대중교통 이용하기 등 일상생활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기후행동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신도식 APEC기후센터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