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업무
연구
- 예측운영
- 기후분석
- 예측기술
- 연구 보고서
- 연구 보고서
- 논문
국제협력
- APEC 기후심포지엄
- APEC 기후심포지엄 안내
- APEC 기후심포지엄 리스트
- 학술활동
- 세미나
- 워크숍
- 기후예측기술 협력사업
- 기후예측기술 협력사업 안내
- 젊은 과학자 지원 프로그램
- 교육,훈련 프로그램
기후예측 정보
동아시아 계절예측
- 예측정보
- 감시정보
전지구 계절예측
- 예측정보
- 요약
- 기후전망
- 검증정보
- 예측검증
- 과거검증
- 계절예측 방법론
- 모델정보
여름철 계절내진동 예측
- 정의
- 감시정보
- 예측·검증 정보
- 모델 정보
기후현황
- 최근기후
- 기후지수
- 가뭄지수
기후정보서비스
기후정보 활용 현황
알림/지식마당
APCC소식
채용공고
입찰공고
홍보관
- 보도자료
- 뉴스
- 기고/칼럼
- 연차보고서
- 브로슈어
- CI
- 홍보영상
- 소셜미디어
정보광장
- 국내외 기후소식
- 기후과학 FAQ
영상미디어
- APCC 프로젝트
APCC소개
소개
원장 인사말
연혁
조직도
고객헌장
인권경영
이사회
APCC 다중모델 앙상블 참여기관
APEC 협의체
협력기관
오시는 길
정보공개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개
정보공개청구
공공데이터개방
클린신고센터
경영공시
사업실명제
출장보고서
오픈
LOGIN
HELP DESK
CONTACT US
SITE MAP
ENGLISH
LOGIN
HELP DESK
CONTACT US
SITE MAP
ENGLISH
주요업무
연구
- 예측운영
- 기후분석
- 예측기술
- 연구 보고서/논문
연구 보고서
논문
국제협력
- APEC 기후심포지엄
- 학술활동
- 기후예측기술 협력사업
기후예측 정보
동아시아 계절예측
- 예측정보
- 감시정보
전지구 계절예측
- 예측정보
- 요약
- 기후전망
- 검증정보
- 예측검증
- 과거검증
- 계절예측 방법론
- 모델정보
여름철 계절내진동 예측
- 정의
- 감시정보
- 예측·검증 정보
- 모델 정보
기후현황
- 최근기후
- 기후지수
- 가뭄지수
기후정보서비스
기후정보 활용 현황
알림/지식마당
APCC소식
채용공고
입찰공고
뉴스레터
홍보관
- 보도자료
- 뉴스
- 기고/칼럼
- 연차보고서
- 브로슈어
- CI
- 홍보영상
- 소셜미디어
정보관
국내외 기후소식
기후과학 FAQ
영상미디어
- APCC 프로젝트
APCC소개
소개
원장 인사말
연혁
조직도
고객헌장
인권경영
이사회
APCC 다중모델 앙상블 참여기관
APEC 협의체
협력기관
오시는 길
정보공개
정보공개
- 정보공개 제도 안내
- 사전정보공개
- 정보공개청구
- 공공데이터개방
클린신고센터
경영공시
사업실명제
출장보고서
기후예측 정보
동아시아 계절예측
예측정보
감시정보
전지구 계절예측
예측정보
요약
기후전망
검증정보
예측검증
과거검증
계절예측 방법론
모델정보
여름철 계절내진동 예측
정의
감시정보
예측·검증 정보
모델 정보
기후현황
최근기후
기후지수
가뭄지수
기후정보서비스
기후정보 활용 현황
홈 >
기후예측 정보 >
동아시아 계절예측 >
예측정보
예측정보
mail
facebook
twitter
다중모델 예측
선별모델 확률예측
모델예측 확률분포
다중모델 해수면온도 예측
관심 기간 선택
예측 기간 선택(월 / 계절)
다중모델 예측
다중모델 확률예측
다중모델 예측
다중모델 확률예측
다중모델 예측
다중모델 확률예측
다중모델 예측
다중모델 확률예측
다중모델 예측
다중모델 확률예측
다중모델 예측
다중모델 확률예측
다중모델 예측
다중모델 확률예측
다중모델 예측
다중모델 확률예측
동아시아 계절예측은 매월 15일에 발표되며, 15일이 휴일인 경우, 다가오는 평일에 발표됩니다.
APCC 계절예측은 전 세계 11개국 15개 기관으로부터 수집된 모델 결과를 종합한 것으로 각국 기상청의 예보와 다를 수 있으니 참고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라며, 각 지역에 대한 공식 전망은 각국 기상청의 발표를 참고해 주십시오.
관심 기간 선택
동아시아 기후 예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기후인자로 엘니뇨-남방진동(El Nino and Southern Oscillation, ENSO)과 서태평양 강수변동을 선정하고, 선정된 기후인자(ENSO와 서태평양 강수)와 동아시아 기후 사이의 영향(climate impact)에 대한 기후예측 모델의 재현성을 평가한 후(그림 [2]) 우수한 재현성을 보이는 기후예측 모델을 선별하여 기온과 강수의 확률예측을 생산합니다(그림 [1]). 따라서 ENSO 및 서태평양 강수의 유무와 강도에 따라 계절적 및 연도별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정보는 시험운영 중으로 "다중모델 예측" 메뉴에서 제공하는 APCC 다중모델앙상블을 이용한 동아시아 계절예측의 보조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선별모델 기온 / 강수확률 예측
모델선별 기준
참고문헌
손수진, 김원무, 김광형, 2019: 다중모델 기반 지역특화 계절예측 기술 개발 (APEC기후센터 연구보고서 2019), APEC기후센터
손수진, 김광형, 김원무, 박경원, 박지훈, 정유란, 2020: 예측성 향상을 위한 다중모델기반 기후예측기술 개발 (APEC기후센터 연구보고서 2020), APEC기후센터
Lee, R. W. K., Tam, C. Y., Sohn, S. J., and J. B., Ahn, 2018: Predictability of Two types of El Nino and their climate impacts in boreal spring to summer in coupled models. Clim. Dyn., 51, 4555-4571,
(해당논문 바로가기)
Sohn, S.J., and W., Kim, 2020: Toward a better multi-model ensemble prediction of East Asian and Australasian precipitation during non-mature ENSO seasons. Scientific reports, 10(1), 1-10.
관심 기간 선택
다중모델 앙상블 동아시아 예측 확률분포
개별모델 동아시아 예측 확률분포
관심 모델 선택
해당정보는
로그인
이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바로가기
로그인
바로가기
동아시아 기온/강수 예측 확률분포는 APCC 확률예측에 대하여 참여하는 앙상블(모델)에 대한 예측 분포의 변화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예측 및 모델간 불확실성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해석 방법 및 상세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다중모델 앙상블 및 개별모델 예측 확률분포 정보 설명자료
(다운로드)
관심 기간 선택
ENSO 경보 정의(다운로드)
* ENSO 경보 정보는 2022년 4월부터 관측자료 업데이트 상황에 따라 최신의 경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매월 15일, 말일 경에 업데이트 됩니다.
다중모델 예측
해수면 온도
ENSO, Modoki, IOD Index
Nino1+2
Nino3
Nino4
Nino3.4
EMI
IOD
개별모델 예측
해당정보는
로그인
이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바로가기
로그인
바로가기
관심 모델 선택
해수면 온도
ENSO, Modoki, IOD Index
Nino1+2
Nino3
Nino4
Nino3.4
EMI
IOD
전지구 계절예측은 매월 15일에 발표되며, 15일이 휴일인 경우, 다가오는 평일에 발표됩니다.
APCC 계절예측은 전 세계 11개국 15개 기관으로부터 수집된 모델 결과를 종합한 것으로 각국 기상청의 예보와 다를 수 있으니 참고 자료로 활용해 주시기 바라며, 각 지역에 대한 공식 전망은 각국 기상청의 발표를 참고해 주십시오.
과거자료(2020년 이전)는 "과거자료 바로가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거자료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