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 저자
- 기후분석과 김선태, 김대하, 김옥연, 명복순, 이은정, 이진영, 전종안
- 작성일
- 2021.02.02
- 조회
- 404
- 요약
- 목차
평문 초록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동성에 의해 전 지구 평균 기온 최고치가 2010년 이후로 여러 차례 경신되고 있는 가운데 인류 건강 및 생태계 지속성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기상재해인 혹서기에 대한 사전대응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사전 대응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상기후현상을 상시 감시하고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미리 이상기후현상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피해를 줄이는 대책을 마련하는 게 효과적입니다.
이상기후 감시를 위해서 준 실시간으로 이상기후 감시 정보 제공을 위해서 운영되고 있는 동아시아 이상기후 감시 정보 웹 서비스 개선을 위해서 컨텐츠를 확대하고 전달력 강화 및 이해도를 높이고자 그래픽 품질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폭염 같은 이상 기후 발생 전망에서 감시 인자들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감시 인자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아울러 새로운 감시 인자의 확대를 도모하였습니다. 2020년 여름철 한반도 이상 기후 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을 수행하고 이해가 쉬운 모식도를 제시하였습니다. 예측 정보 확대를 위해서 과거 유사해 추출 방법과 기계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 모델들을 구축하였으며 전국 및 지역별 혹서기 이상 기후 3개월 확률전망정보를 생산하였습니다. 그리고 기상청 현업모델의 예측 정보의 신뢰도 및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예측 오류들을 보정하는 방법 등과 같은 방안들을 제시하였습니다.
개선된 준 실시간 이상기후 정보 제공 서비스에서 추가된 통합맵 들을 통해 여러 가지 이상기후 정보들을 한눈에 볼 수 있게 되었으며, 개발된 이상기후 발생 감시 인자 검증 시스템을 통해서 이상 기후 전망에서 감시 인자들의 활용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됩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작성된 2020년 기록적인 이상 기온과 강수 발생에 대한 감시, 원인, 예측 사후 분석이 통합되어 있는 원인 분석서는 감시 인자 설정 및 예측 모델의 예측 오류를 확인하고,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개발된 통계기반 모델들이 신뢰성있는 예측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는 것과 기상청 현업 모델들의 예측 결과들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안들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들 결과들의 이상 기후 장기 전망에 대한 현업활용을 통해서 예측정보 확대와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