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 저자
- 기후분석과 김선태, 전종안, 명복순, 김대하, 이진영, 신용희, 이성규, 이은정
- 작성일
- 2020.02.28
- 조회
- 293
- 요약
- 목차
평문 초록
기후변화로 인해 과거에 나타나지 않았던 이상기후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와 관련한 피해는 많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지구 평균 온도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어서, 이상기후는 더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뒤따르는 사회․경제적 피해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상기후현상을 상시 감시하고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미리 이상기후현상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피해를 줄이는 대책을 마련하는 게 효과적입니다.
이상기후를 감시하기 위해서는 이상기후현상을 잘 나타내는 지수를 활용하게 됩니다. 이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기온과 강수를 기반으로 한 지수뿐 만 아니라 대기와 지면이 서로 주고받는 작용이 이상기후현상에 대해 영향을 주기 때문에 토양수분을 활용하여 전 세계 폭염이나 가뭄과 같은 이상기후를 감시하는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소설네트워킹서비스(SNS)를 활용하여 일반 사람들이 반응하는 이상기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는 기법을 개발하였습니다. 대기나 해양의 상태와 이상기후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이상기후에 대한 원인을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이렇게 생산되는 이상기후 감시정보를 동아시아 지역에 준실시간으로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 생산한 폭염을 나타내는 지수는 우리나라에서 폭염이 강하게 발생한 1994, 2016, 2018년의 폭염을 잘 보여주고 있어서 우리나라에 적용성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됩니다. 일반 사람들의 즉각적인 반응을 잘 나타내는 소셜미디어 자료는 기존 이상기후 지수가 사회․경제적 영향을 보여주는 한계가 있는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이상기후의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은 신속하게 원인을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기후변화의 이상기후현상에 대한 기여 정도 등의 해석에는 한계가 있어, 개선해야 할 여지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이 연구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태지역의 이상기후를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신속한 원인 분석을 통해 이상기후에 대한 피해를 줄이는 대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