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 저자
- 기후분석과 여새림, 임슬희, 김유진, 이현주, 윤순조, 김가은, 박다인, 예측기술과 김원무, 예측운영과 김상철
- 작성일
- 2020.02.28
- 조회
- 312
- 요약
- 목차
평문 초록
신뢰도 높은 기후예측 정보는 수자원 및 에너지 수급 계획, 각종 계절 질환에 대한 예방, 재해 방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 국민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장기예보 생산 기관인 기상청과 기후예측 전문 기관인 APEC 기후센터(APCC)는 기후예측 정보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여 왔습니다. 특히 APCC는 기상청과 함께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WMO) 장기예보 선도센터를 운영하면서 WMO 회원국의 요구에 부합하는 고품질 기후예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2017년부터는 기상청과 APCC 두 기관의 협력을 통해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자 현업 장기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APCC-기상청 협력 시스템 구축 과제를 시작하였습니다. 지난 3년간 과제 수행을 통하여 두 기관 협력 시스템 구축의 초석을 마련하고 시스템을 안정화 하였으며 두 기관의 발전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장기예보는 기후예측 모델의 결과와 함께 우리나라 기온과 강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기후요소의 현황과 추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생산됩니다. 따라서 신뢰도 높은 장기예보의 생산을 위해서 우리나라 기후 변동성에 대한 물리, 역학적 이해와 함께 기후예측 모델 결과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예측 성능 향상 기법 개발이 필요합니다. 이 과제는 이러한 부분들을 아우를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먼저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폭염과 여름철 강수 변동성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여름철과 겨울철 극한 기온 사례에 대한 상세 분석을 통해 장기예보의 기후 감시 및 분석 업무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역학 모델의 우리나라 지역 예측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역학 모델의 서태평양 지역 강수 모의 특성 활용을 통한 강수 예측 시스템과 역학 모델 결과에 상세화 기법을 적용하여 월별 강수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그 이외에도 실제 장기예보 생산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예측 콘텐츠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과제의 연구 결과들은 학문적인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현업 장기예보 업무에 적용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상청의 현업 장기예보 관련 회의에 직접 참여하는 것이 이 과제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를 통해 현업 장기예보의 질적 향상에 APCC가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며 APCC 내부적으로도 우리나라 기후예측과 관련한 역량 강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신뢰도 높은 장기예보 생산을 통해 일반 국민을 포함하여 다양한 전문가 수요자 그룹에서 가치 있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