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 저자
- 예측운영과 한정민, 송봉근, 최재원, 정다은, 김상철, 예측기술과 이윤영
- 작성일
- 2020.02.28
- 조회
- 294
- 요약
- 목차
평문 초록
APEC기후센터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들에게 기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웹 기반 뿐만 아니라, 응용프로그램 형태로 사용자들의 컴퓨터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들은 다양한 형태로 기후정보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의 기후정보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이 다양해지고 정보전달 기술의 발전을 통해 사용자편의를 위한 정보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APEC기후센터 대표 홈페이지를 통해 멀티모델앙상블 계절 예측정보 서비스를 확대하고 국내사용자를 위한 국문홈페이지 개선과 기후자료 제공서비스의 명확한 정보전달을 위해 자료제공 연동체계를 개편하고 제공하는 자료의 파일명 규칙을 개선하였다. 또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개별모델 및 다중모델 앙상블계절예측자료의 상세정보 제공을 위한 웹사이트 개편을 실시하였다. 기후정보 응용도구의 개별모형 상세화 예측자료 제공과 회귀장 표출방식을 개선하였다. 뿐만 아니라, CORDEX동아시아 지역모델 자료의 전 세계 제공을 위해 ESGF 연합체의 구성원으로써 데이터 노드 시스템의 이중화 체계 구축과 서비스 접속통계 수집체계를 구축하고 국내에서 생산된 자료를 대상으로 메타데이터 생산 및 배포체계를 구축하였다.
정보전달 기술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방식의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있고 국제연합체의 참여로 APEC기후센터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기후정보서비스의 다양화, 정보제공의 편리성 강화, 보안취약성 보안을 통해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용자 편리성을 개선하였다.